티스토리 뷰
자동차 운행 시, 방지턱을 넘을 때 찌걱찌걱 소리를 경험하시고 계신가요? 이런 대부분의 하체소음이 발생되는 차량들은 주행거리가 꽤 있거나, 연식이 많은 차량에서 주로 발생됩니다.
오늘은 하체소음의 원인에 대해서 알아보고, 해결법까지 챙겨보도록 하겠습니다.
자동차 하체소음의 원인
자동차에서 동일한 증상이 나타나더라도 그 원인은 차량에 따라 다양할 수밖에 없습니다. 운전하는 습관이 다를 수 있고, 주로 운행하는 도로의 노면상태도 다를 수 있으며, 무엇보다도 차량의 컨디션이 상이할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.
하지만, 방지턱을 넘을 때 찌걱찌걱 소리로 고통받고 계시다면, '스테빌라이저 (활대링크)'라고 불리는 해당 부품의 노화로 인해서 발생되는 소음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.
사람으로 비유하자면, 타이어가 신발정도라고 한다면, 스테빌라이저가 무릎의 역할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.
이 스테빌라이저에는 고무부싱이 부착되어 있는데, 해당 부식이 계절의 변화나 시간의 경과에 따라 마모되어 고무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찢어지거나 손상되었을 때 소음이 발생되는 것입니다.
스테빌라이저 (활대링크)의 역할
▶ 차량의 좌우 균형을 잡아주어 안정적인 운행이 가능하게 도와줍니다.
▶ 코너링 시 한쪽으로 쏠리지 않게 전체적인 균형을 유지해 줍니다.
▶ 노면의 요철이나 방지턱등을 넘을 때 충격을 줄여주어, 승차감을 유지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.
▶ 도로면과 타이어의 접지력에 영향을 주어 주행 시 안정감 있는 평행감을 유지하게 해 줍니다.
▶ 고속 주행 시 노면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시켜주어, 핸들에서 느껴지는 떨림을 최소화시켜 줍니다.
하체소음 원인인 스테빌라이저 교환주기 및 교환비용
▶ 스테빌라이저의 권장 교환주기는 주행거리 10만 km 시 교환을 하는 걸 권장하고 있습니다.
▶ 좌우 2개씩 총 4개로 구성되어 있으며(2개씩 세트로 구성), 한쪽의 문제가 있을 시 보통 비슷한 시기에 다른 곳에서도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에, 교환 시 한꺼번에 모두를 교체하는 걸 추천드립니다.
자세한 개당 가격 및 공임비는 아래 이미지 클릭 시 바로 확인 가능합니다.
스테빌라이저의 고무 부싱만 교체가 가능한가요?
요즘 대부분의 부품이 고무와 일체형으로 나오기 때문에 사실상 신품으로 교체하는걸 정비소에서 추천하고 있습니다.
고무만 바꿀 수 있는 모델이라고 할지라도 고무만 바꾸게 될 경우 완벽하게 딱 맞게 작업하기가 어려워 해당 부위에 추가 문제의 소지가 있을 수 있으며, 고무만을 바꾸는 게 부품값은 저렴할지 몰라도 작업 난이도면에서 신품교체보다 공임비가 올라가 전체비용에서 크게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.
정차후 출발할 때 변속충격이 발생된 경우, 인히비터스위치 점검 필수.
정차후 출발할 때 변속충격이 발생된 경우, 인히비터스위치 점검 필수.
자동차가 정차 신호에서 대기 중에 있다가, 출발을 위해 브레이크를 떼었을 때 갑자기 '쿵'하는 기어가 걸리는듯한 변속 충격을 경험하신 적이 있으신가요? 뒤에서 먼가 잡아끄는듯한 변속 충격
skorea9.tistory.com
주행중 엔진경고등 점등 원인 및 대처 방법
자동차를 주행하다 보면, 각종 경고등을 종종 발견할 때가 있습니다. 그중에서도 엔진과 관련된 아래 사진과 같은 경고등을 보게 되면 왠지 심장이 두근거리실 거라 생각됩니다. 엔진경고등이
skorea9.tistory.com
'자동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디젤 흡기크리닝 비용 및 흡기구 오염시 문제점 알아보기. (0) | 2023.08.02 |
---|---|
엔진 과열 원인 라디에이터 교체비용 및 청소비용 알아보기. (0) | 2023.08.01 |
정차후 출발할 때 변속충격이 발생된 경우, 인히비터스위치 점검 필수. (0) | 2023.07.31 |
침수차 확인 및 침수차 조회하는 방법 알아보자. (0) | 2023.07.14 |
음주운전 처벌 어디까지 가능할까? (0) | 2023.06.30 |